배스낚시용 라인(낚시줄)

2008. 2. 21. 12:26Holifisher man

반응형
낚시 줄


낚시줄을 잘라 그 잘린 면을 확대해서 보면 한 줄로 된 모노필라멘트(Nylon Mono Filament)로 된 것과 폴리에틸렌사를 여러 겹으로 꼬아서 만든 PE합사로 나뉜다. 모노필라멘트사가 주종을 이루고있지만 최근에는 합사의 사용량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대어용으로 오히려 PE줄이 선호되기도 한다.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줄은 듀퐁사가 1927년 개발한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줄과 1975년에 고분자 폴리 아라미드를 개발하여 케블라(Kevlar)라는 상표로 내놓은 것이 대표적이다.

낚시줄은 사용위치에 따라 릴에서부터 나오는 줄을 원줄 그리고 원줄에서 매듭을 이어 바늘끝에 까지 채비로 연결하여 쓰는 줄을 목줄이라고 부른다. 목줄은 대개 비중이 무거워 빨리 가라 앉으면서 부드럽고 같은 강도 일지라도 가늘고, 한계강도 범위 안에서는 잘 견디지만 한계강도 이상에서는 늘어나지 않고 잘 끊어져야 좋다고 평가된다. 이유는 한계를 넘어서는 부하(스트레스)가 원줄이나 낚시대에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다.


강도가 강한 대에 약한 줄을 사용할 때 줄이 한계에 이르면 끊어지지만, 강도가 약한 대에 강한 줄을 함께 쓴다면 줄이 끊어지기 전에 대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그런 만큼 대의 손상을 줄이려면 대의 강도보다 한 단계 낮은 줄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전에서는 두꺼운 줄이 많이 쓰인다. 특히 수초나 장애물 지대를 공략할 때는 15파운드 이상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프로 배스 낚시인들은 모노필라멘트가 아닌 데이크론사나 Braided 줄 같은 합사로 된 강한 줄을 이용하여 배스 루어 낚시를 즐긴다. 낚싯줄은 기본적으로 일회용 소모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좋다.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로 된 나일론 줄은 값이 싸서 많이 쓰고 있지만, 작은 흠집이 있어도 잘 터지고 많이 늘어나기 때문에 장애물지대나 큰 놈이 걸렸을 때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나일론에 불소카본을 혼합하여 만든 카본 줄은 가격은 비싸지만 나일론 줄보다 질기고 상처에 강하며 비신 축성이기 때문에 더 가는 줄을 쓸 수 있다. 그러나 카본 줄은 같은 굵기의 나일론 줄 보다 뻣뻣하기 때문에 오히려 불편할 수 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배스용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줄은 스피닝 릴의 경우 4 - 10Lbs(파운드), 베이트 릴의 경우 6 - 14Lbs 정도이다.

줄의 테스트 파운드를 적절하게 대와 결합시켜 보면 ⓐ 미디움 헤비 대는 14 ~ 20 Lbs, ⓑ 미디움 대는 12 ~ 14 Lbs, ⓒ 미디움 라이트 대는 10Lbs정도, ⓓ 라이트 대는 8 Lbs 줄이 걸 맞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탑 워터 루어를 쓰는 경우는 보다 부드러운 줄이 쓰여지며, 중 상급자들의 경우 입질이 까다로울 때는 언더리그 채비와 곁들여 3 ~ 4Lbs 줄 까지도 쓴다. 드래그 조절, 낚싯대의 유연성이 조화가 되면 가는 줄로도 얼마든지 큰 고지를 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소재에 따라 그 인장강도와 두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요즈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인장 강도인 테스트 파운드나 테스트 킬로그램(Test Lbs/ Test Kg)을 쓰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낚싯줄의 강도가 아니라 두께를 중심으로 표현(1호는 0.00375g, 10호는 0.375g에 해당한다)하는 호로서 제품표기를 하고 있는데 매우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제와 같은 저가품은 같은 두께라도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최근에 개발된 고급제품은 보다 가늘더라도 더 강한 인장강도를 갖게마련이다. 이 호(號)라는 것은 1945년 일본의 한 회사에서 자체 분류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었던 것이다.

참고로 가장 넓게 통용되고 있는 나일론모노필라멘트 줄의 호와 두께를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물론 이것은 각 제조회사나 지역 그리고 낚시종목에 따라 틀린다.

0.6 0.8 0.9 1 1.2 1.5 2 2.5 3 3.5 4
파운드 3 4 5 6 7 8 10 12 14 15 16
mm 0.128 0.148 0.157 0.165 0.185 0.205 0.235 0.260 0.285 0.310 0.330

그리고 줄의 색깔은 맑은 날과 흐린 날에도 식별이 용이한 것이 좋다. 그러나 색깔이 너무 진하거나 물색 또는 주변의 색깔과 다르면 면 배스의 눈에 뜨이기 때문에 위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출처 : http://blog.naver.com/bjhdodo5816
반응형

'Holifisher 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스낚시용 하드베이트  (0) 2008.02.23
소프트 베이트(배스낚시용)  (0) 2008.02.21
배스낚시용 로드  (1) 2008.02.18
배스낚시 기초 [스피닝릴과 베이트릴]  (1) 2008.02.17
배스낚시 기초(장비, 상식)  (0) 2008.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