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배스낚시 포인트!

2008. 3. 1. 13:53Holifisher man

반응형
 

여름 배스낚시의 원칙(Summer Bassing Advice)


배스의 적서수온대와 용존산소를 찾아라


배스의 적서수온대는 18~25℃이며 표층수온이 27℃가 넘어서면 배스는 적서수온대를 찾아 이동한다.

배스가 좋아할 만한 적서수온대는 호수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한 여름에는 에피림니언과 서모클라인의 경계면이 배스가 선호하는 수온 범위에 들어가며, 한 여름의 배스낚시는 깊은 곳이 주요 공략대이지만 이것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 때의 깊은 곳은 대부분 호수의 경우 수심 6~8m 이며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류와 적서수온과의 관계에 있어 재미있는 사실은 먹이사슬의 상층부에 있는 육식성 어종일수록 적서수온 범위가 넓다는 것이다.

많은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한 수온대에서 활발히 활동할 수 있어야 되는 진화의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이다.

우리나라 호수에서 배스와 베이트피시의 적서수온의 관계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된 결과는 없지만 미국 갈색 송어의 적서수온은 60~65℉, 블루길 75~80 ℉, 블랙그래피 70~75℉ 등으로 비교적 범위가 좁은 적서수온대를 갖고 있지만 라지마우스 배스는 적서수온대가 68~78℉으로 비교적 넓어 호수의 다양한 수심층을 오가며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계절에 관계없이 호수의 50~80%의 물은 물고기가 서식하기 좋은 정도의 충분한 용존산소를 갖고 있지 않다고 한다. 더욱이 여름철에는 높아진 수온이 용존산소를 대기로 방출시켜 물 속 용존산소량이 줄어든다.

그래서 배스는 용존산소가 많고 적서수온이 보장되는 곳을 찾아 이동한다.

그러나 여름은 식물들에게 성장을 위한 많은 혜택을 주는 시기이다. 식물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다른 계절에 비해 풍족하게 주어지는데 풍부한 물과 높은 기온, 그리고 긴 일조시간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만족할 만한 조건 속에서 식물들은 태양이 떠 있는 시간 동안 하루종일 광합성 작용을 한다. 식물들의 광합성 작용은 성장을 위한 에너지를 만들고 그 결과물로 대기 중에 대량의 산소를 내뿜는다.

이런 활동은 수생식물들도 마찬가지이다. 수생식물들은 여름철에 활발한 광합성 작용을 통해 성장을 하고 물 속에 다량의 산소가 녹아들게 한다.

즉, 호수에서 용존산소가 많은 곳은 수생식물이 있는 곳과 호수 주변의 나무와 풀들이 많은 곳이다. 그리고 계곡에서 흘러 들어오는 새물 유입구와 물속 용천수, 유속이 있는 본류, 지류의 채널도 호수의 훌륭한 산소공급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곳의 용존산소도는 다른 지역보다 매우 높다.


보다 시원한 물을 찾아라


배스와 같은 찬피 동물은 체온 조절 능력이 없어서 수온이 높아져 체온을 올리게 되면 배스의 신진대사는 매우 빨라지게 되고 체내 에너지 손실이 막대해져 심하면 죽게 된다.

따라서 배스는 수온이 올라가면 적서수온 범위 내에 있는 보다 시원한 물로 이동을 한다. 더불어 이렇게 찾아간 시원한 물에는 배스가 좋아하는 베이트 피시가 있어 먹이활동이 보다 쉬워진다.

호수에서 시원한 물은 반드시 깊은 곳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용천수 같은 곳은 주변의 수온보다 약간 낮아 배스에게는 시원하게 느껴지며, 호수로 흘러드는 새물 유입구와 같이 항상 시원한 물이 유입되는 곳도 있고, 나무가 있는 곳은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며, 또한 나무가 내뿜는 산소에 의해 근처의 물 속 용존산소는 언제나 풍부하다.

또한 두터운 수초지대 밑 그늘은 주변 수온보다 미묘한 차이(배스가 수온을 감지하는 능력은 경이로울 정도인데 수온이 약 0.01℃만 차이가 나더라도 감지,반응한다고 한다.)가 나지만 한 여름 배스에게는 갑지덕지한 안식처가 된다.


한정된 피딩 타임을 노려라


어떤 시기이든 배스에게 자기만의 시간을 갖게 하는 시간은 이른 새벽과 일몰 이후, 한밤중 등일 것이다.그러나 여름철 배스에게 이시간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런 시간은 피싱프레셔가 적고, 햇빛에 의한 수온 상승도 없다. 그러나 다른 여러 가지 이점보다도 중요한 것은 여름철에 호수의 수온이 제일 낮은 시간이라 배스의 활성도가 최고조에 달하며, 배스의 시력이 베이트피시의 시력보다 높은 시간이어서 먹이활동이 무척 용이하다는 것이다.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미국의 배스낚시는 수많은 배서들의 시행착오를 경험으로 아주 평범하면서도 콕 지르는 배스낚시 격언을 우리에게 전해준다

그 격언은 "You must be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이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배스가 나오는 장소에서 배스가 나올 시간에 낚시를 하라는 얘기이다.분명 여름철 배스는 주로 이른 새벽과 일몰 후, 한밤중에 할발한 먹이활동을 하지만 여름철 내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자연의 조화는 참으로 신비로워 우리 초보배서들의 여름 배스낚시의 고충을 알고 가끔 소나기도 내려 주며, 시원한 바람도 불어 주고, 또는 두터운 구름을 동원 하게 해준다.얼마나 고마운 자연의 변화인가. "You must be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을 머리 속에 새겨 두면 효과적인 여름 배스낚시를 즐길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pH Breakline을 찾아라


물 속에서 물고기는 혈액의 pH수치와 유사한 곳을 선호하는데 일반적으로 약 pH 7.5~7.9 사이를 선호한다.호수의 수초, 주변 식물들은 다른 계절보다도 왕성한 광합성 작용을 하면서 배출하는 산소가 수심에 따라 pH수치를 변화시키고, 같은 장소라고 해도 시간에 따라 pH수치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호수의 호수의 특정한 지역에 수초나 주변 식물들이 많이 있는 곳은 여름날 아침 pH의 브레이크라인 (급변층)은 주로 얕은 곳에 형성되며 그 후 태양이 머리 위로 솟아오르면서 수생식물의 광합성이 증가함에 따라 얕은 곳의 pH수치도 증가한다.

이처럼 pH는 같은 장소에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하며 이런 현상은 호수의 식물들이 왕성한 광합성 작용을 하는 여름철에 특히 심하게 일어난다.

그러나 강이나 수로와 같은 흐르는 물에서의 pH수치는 거의 동일하나 만곡진 곳, 백워터(Breakwater) 등은 본류와 다른 수치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pH수치가 급격히 바뀌는 곳이라이라서 해서 무조건 다 좋은 것만은 아니다

배스는 유효 생존 범위인 pH 6.7~9.6사이에서 일어나는 Breakline, 더 좁히면 pH 7~8을 포함하는 Breakline을 선호한다.

민물고기에 있어 체내 pH수치는 거의 같기 때문에 동일한 수심층(동일한 pH)에 있는 배스와 베이트피시의 활성도는 비슷하게 된다. 이는 달아나는 베이트피시를 사냥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그래서 배스는 pH브레이크라인이 형성된 수심층 중에서 자기에게 알맞은 장소에 위치하며 pH가 좋지 않은 곳에 있는 베이트피시(활동성이 나쁨)를 공격하게 되는 것이다.


Match the Bait


여름 배스낚시를 하면서 어쩌다 잡은 홀쭉한 배스를 초보배서에게 보여주면서 여름철 배스는 활성도가 낮아 잘 먹지 않기 때문에 잡기도 어렵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편협하게 패턴을 규정짓는 이런 일반론 또한 초보배서들의 여름 출조를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미국의 유명한 배스낚시 입문서인 "Largemouth Bass"에는 많은 배서들이 한 여름에는 배스가 잘 먹지 않는다고 잘못 알고 있으나, 한 조사에 의하면 7, 8월의 배스는 5, 6월의 배스보다 무려 두배나 더 먹는다고 보고되었다고 서술되어 있다.여름철 배스는 물필요하게 이곳 저곳을 뒤지고 다니면서 집적거리기보다는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에너지 소지를 위해 짧은 시간에 보다 큰 베이트피시를 잡아먹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아주 현명한 육식성 동물이라는 것을 명심하다.호수의 여름은 배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 그러나 높은 수온으로 활성도가 떨어진 배스는 조금이나마 수온이 낮아지는 이른 새벽과 일몰 후, 한밤중에만 먹이활동을 하게 되는데 충분히 성장한 베이트피시의 치어들은 배스에게 아주 매력적인 먹이감이 된다.

배스와 같은 육식성 어종들은 여름철 먹이감의 기준으로 베이트피시의 크기를 중요시한다.이것은 한정된 시간에만 먹이활동을 하다보니 작은 것을 여러 마리 먹는 것보다 큰 것 한마리를 먹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경헙을 통해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봄철보다 조금 더 크고 베이트피시의 모습에 가까운 루어를 사용하는 것이 빅 배스 확률을 높인다.

여름철 딥 피싱에서 작은 웜의 피네스 패턴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은 먹이활동 의지가 약한 상태의 배스(딥에서의 안식하고 있는 )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일 뿐이다.

사실 피네스 웜은 여름시즌 실제 먹이감 이미지와 사이즈와는 거리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