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헤드 사용법

2008. 2. 23. 08:47Holifisher man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그헤드에 관한 명칭입니다.
간혹 사람에 따라 다르게 부르는 방법이 다르기도 합니다만...
어쨌거나 정리하는건 좋은 거라 봅니다.
 
바늘귀(EYE),
바늘머리(HEAD),
바늘허리(SHANK),
바늘끝(POINT),
미늘(BARB),
굽힘(BEND), SHANK 와 POINT 사이의 간격을 GAP(GAPE),
POINT 에서 BEND사이의 간격을 THROATD 라 합니다.
(빨간색으로 칠한 부분을 주로 많이 써요.)

지그헤드의 가장 큰 장단점을 꼽자면...

일단 채비의 편리성이 한번에 보이기는 하지만 챔질할떄나 랜딩시에 바늘털이에 관해서 입니다.

챔질은 용이하나 바늘 털림에 약하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하시는 말씀들이거든요.

그래서 지그헤드의 모양에 따라 챔질과 바늘털이에 대해서 차이가 난다는 것 또한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정리하자면...


-챔질(HOOK SETTING) 성공률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높아집니다.

바늘 허리가 길수록.

갭이 넓을수록.

바늘귀 ~ 바늘허리가 길수록.

바늘끝이 예리할수록.

포인트 부분의 각도가 바깥을 향할수록.

-바늘털이에 의해 털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형태

바늘 허리가 길수록.

THROAT 가 길수록.

바늘굽힘 부분이 복잡할수록.

미늘이 크고 길수록,

바늘 끝의 각도가 안쪽을 향할수록.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같은 무게의 지그헤드 랍니다.
왼쪽과 오른쪽의 형태가 조금 다른 것이 보이시지요?
오른쪽에 보이는 지그헤드의 장점을 꼽자면
챔질 성공률이 크고, 바늘털이를 덜 당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바늘이 큰만큼 밑걸림이 좀더 심하고 액션이 살짝쿵 부자연 스러워 지는 단점이 있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위의 사진을 보면...
포인트의 방향이 다른 것을 알수 있습니다.
윗쪽에 있는 것은 배스구조대에 계시는 라면맨님께서...
아주아주 즐겨 쓰시는 바늘의 형태 입니다.
말씀 잘하시면 몇개 얻을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자...정리하면 윗쪽에 있는 지그헤드가 챔질 성공률을 떨어지지만
바늘털이에 의한 털림에 강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bjhdodo5816/80031002334

반응형

'Holifisher m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스의 생태  (0) 2008.02.25
스피너 베이트 만들기 - 프로배스존  (0) 2008.02.24
배스낚시용 하드베이트  (0) 2008.02.23
소프트 베이트(배스낚시용)  (0) 2008.02.21
배스낚시용 라인(낚시줄)  (0) 2008.02.21